책을 읽고

문학으로 역사 읽기, 역사로 문학 읽기/주경철

선인장아니면무엇? 2018. 8. 27. 09:20

현명한 노예가 살아가는 방법- 『이솝 우화집』
시민은 폭군에게 아첨하지 않는다- 아이스킬로스의 「아가멤논」
고뇌를 통해 지혜를 얻다-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
중세의 치명적인 사랑 이야기- 『트리스탄과 이즈』
사후 세계의 대대적 구조조정- 단테의 『신곡』 중 「연옥편」
죽음을 넘는 인간적 사랑의 세계-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아랍 상업 세계와 문학- 「선원 신드바드와 짐꾼 신드바드」
무사도란 죽는 일이다- 『주신구라』
동화 속 결혼 이야기-「푸른수염」과 「하얀 새」
푸가초프의 반란과 푸시킨-푸시킨의 『대위의 딸』
프랑스혁명과 제정, 그리고 여성- 스탈 부인의 『코린나』
제국주의 시대의 성장소설- 로버트 스티븐슨의 『보물섬』
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 쥘 베른의 『해저 2만리』
삼나무처럼 자유로운 영혼-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시민의 불복종』, 『월든』
「별」의 작가에서 애국 시인으로- 알퐁스 도데의 단편집
20세기를 지배한 문화 아이콘-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타잔』
서구를 위협하는 동방의 어두운 힘-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
암울한 미래로의 여행-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
세계의 대영혼에 눈뜨다-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
20세기 역사에 대한 시적 코멘트- 브레히트의 『살아남은 자의 슬픔』
핵전쟁 시대의 어둠-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
문화대혁명의 광기를 버텨 낸 순정- 위화의 『허삼관매혈기』


이런 책에는 반복되는 문학이 많다. 레미제라블, 신곡, 드라큘라 등. 이솝우화가 재미있었다. 푸른 수염과 분노의 포도, 파리 대왕 등에 대해서 알게 되어 좋았다.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을 아주 짧게 언급하고 넘어갔다. 다른 책들 하는 것처럼 문제점을 다루지 않았다. 문학도 그 당시의 역사 안에서 움직인다. 그 시대 안에서 읽고 평가해야 한다. 소로우도 그렇다. 전체적으로 딱 알맞은 만큼에서 정리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즉 수업용같은.